자유게시판
       ** 글쓰기는 33회 정회원 으로 "로그인"하여야 가능합니다
    글수 807
    • 회원 가입
    • 로그인
    • Tag List
    • Classic Board
    • Web Zine
    • Gallery
    • Contributors

    [​입춘(立春)의 유래(由來), 하는 일, 음식(飮食)](제공 이종길)

    관리자

     

    [​입춘(立春)의 유래(由來), 하는 일, 음식(飮食)]



    1.입춘(立春)의 유래(由來)

     ​

    입춘​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음력 1월이나 2월 초에 해당됩니다. 금년은 양력 2월 4일이지요! ​태양의 황경(​黃經)이 315˚에 왔을 때를 이르며 이날부터 봄이 시작된다는 뜻입니다.


    또 입춘 전날은 '절분'인데요. 이날 밤을 '해넘이'라고 부르며 방이나 문에 콩을 뿌려 귀신을 쫓​고 새해를 맞이한다고 해요. 절분을 12월 마지막 날,입춘을 새해로 보는 것이지요!~


    ​2.입춘(立春)에 하는 일 


    1)입춘축(立春祝)/입춘첩(立春帖) 붙이기


    봄이 온것을 기리어 묵은해의 액운은 멀리보내고 새로운 봄을 맞이하는 의미로 축하, 기원​, 경계 등의 글을 써서 각 가정의 대문이나 기둥 등에 붙이는 것을 입춘축, 또는 입춘첩이라 부릅니다.


    ​<입춘축의 대표적인 글귀>


    ​(1)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한다.


    (2)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父母千年壽 子孫萬代榮 ): 부모는  천년을 장수하고  자식은 만대까지 번영하라.


    (3)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海): 산처럼 오래살고 바다처럼 재물이 쌓여라.


    ​옛 부터 "입춘 날 입춘 축을 붙이는 것이  굿 한 번 하는 것보다 낫다!"는 말이 있습니다. ​입춘축은 입춘 당일 태양의 황경이 315도가 되는 시간에 맞추어 붙여야 그효험이 있다고 믿었는데요,


    ​2019년 새 봄을 맞는 의미에서 올해는 집안에 입춘축을 붙여보면 어떨까요? 또 글을 써 붙이지 않고 글귀를 외워도 좋다고 해요.


    가족, 친지, 친구들에게 위의 글귀를 메세지로 보내며 새 봄 인사를 해보는 것도좋겠습니다.

     

    2)삼재(三災)풀이


    올해 삼재에 든 사람의 액운을 물리치고자 삼재풀이를 한다고 합니다. 삼재풀이 하는 날은 입춘(立春)이나 정월(正月) 초(初)하루부터 ~ 


    정월 보름사이에  길일(吉日)을 택하여 행하는데, 예로부터 정월의 첫 호랑이 날이나 말날 또는 보름날 행하는 경우가 많다.


    속옷에 '삼재팔난(三災八難), 삼재액살소멸(三災厄煞燒滅)‘을 적어 속옷을 불에 태우기도 하고, 삼재 부적을 붙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2019年 삼재(三災)에 해당 하는 띠는 다음과 같습니다.


    (1)들(입)삼재(三災) 띠: 소(丑)띠, 뱀(巳)띠, 닭(酉)띠
    (2)눌(묵)삼재(三災) 띠: 쥐(子)띠, 용(辰)띠, 원숭이(申)띠
    (3)날삼재(三災) 띠:  토끼(卯)띠, 양(羊)띠, 돼지(亥)띠


    3)점복(占卜) 치기와 입춘 굿


    보리뿌리점이라 하여  입춘 날, 보리 뿌리를 캐어 성장 상황을 보아 그해 농사의 풍흉을 치는 점입니다. 보리 뿌리가 많을수록 풍년, 적으면  흉년으로 해석할 수 있어요.


    오곡의 씨앗을 솥에 넣고 볶아 맨먼저 솥 밖으로 튀어나오는 곡식이 그해 풍년이라 점치기도 했다합니다.

     

    제주도에서는 '입춘 굿'이라 하여 큰 굿을 하는데, 농악대를 앞세워  가가호호 방문하거나 옥황상제, 토신, 오방 신에게 제사를 지냈습니다.


    3.입춘 음식(입춘절식) 먹기 

     

    입춘절식(立春節食)이란, 입춘일 절기에 맞추어 먹는 음식으로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오신채, 세 생채 등이 있습니다.

     ​

    ​1)오신채(五辛菜)


    오신채는 다섯 가지 매운맛이 나는  나물로 입춘채(立春菜), 오신반(五辛盤)이라고도 합니다.


    눈(雪) 밑에 난 햇나물로 자극성 있는 맛과 비타민 C를 함유해  겨우내 결핍되었던 영양분을 신선한 채소로 보충하고 봄철 잃기 쉬운 입맛을 돋우었습니다.


    (1)오신채 ​ 종류로는 파, 삽주 싹, 당귀 싹, 산갓, 미나리 싹, 무 싹, 파, 마늘 순, 달래, 부추, 유채 등 봄철 채소의 새순이나 싹입니다.

     

    (2)이렇게 먹는 오신채에는 음양오행의 의미를 담아  다섯 가지 색깔 나물로먹었는데요. ​오색은 청색, 적색, 황색, 흰색, 검정색으로 각각 인, 예, 신, 의, 지를 의미합니다.

     

    (3)다섯 가지 색깔 나물과  오신채를 함께 넣은  비빔밥이나 봄 향기가 가득한 신선한 샐러드로 맛있는 식사를 해도 좋겠습니다.


    (4)입춘 일에는 궁중은 물론 서민들도  다섯 가지 색깔의 오신채를 먹으면  다섯가지 덕(仁, 義, 禮, 知, 信)을 모두 갖추게 되고 ​ 신체기관이 균형과 조화를 이룬다고 믿었습니다.


    (5)​또한  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에는  다섯 가지 괴로움, 인생오고(人生五苦:生,老,病,死,愛別離)가 있다고 하는데요.  다섯 가지 맵고 쓴 오신채를 먹으며  그 고통을 참으라는 교훈도 담고 있습니다.


    2)명태순대


    (1)입춘 때에  전통적으로 먹는 음식으로 '명태순대'가 있는데요,  명태순대의 경우 함경도, 강원도에서 만들어 먹었던 음식으로써


    해당지역에서는  봄나물 대신 명태순대를 먹었다고 하네요. 내장을 빼낸 명태 뱃속에 소를 채워 만든 순대로 '동태순대'라고도 불립니다.

     ​

    3)기타음식

    또한 지역별로 입춘일에 먹는 음식이 다른데요. 경상남도는 팥죽을 끓여먹고,충청도는 보리밥을 해먹으며, 함경남도에서는 입춘 일에 무를 먹으면 늙지 않는다하여 무를 먹기도 합니다.
    ---------------------------------------------------------------------
    절기에 맞게 볼 수 있는 제철채소와 제철과일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식품이지요. 입춘 일을 맞아 오신채를 활용한 비빔밥이나 샐러드 등 입춘절식을 드시옵고 몸을 건강하게 유지하시길 바랍니다.


    한해의 시작은 1월이지만, 온갖 만물의 탄생과 소생을 알리는 입춘을 24절기 가운데 첫 번째로 두어 또 다른 의미의 새해 시작점이라 하지요!


    입춘을 맞이하여 울님 모두


    1)입춘대길(​立春大吉) 하시고, 건양다경(建陽多慶) 하시길 2)부모천년수(父母千年壽) 하시고,  자손만대영(子孫萬代榮) 하시길 3)수여산(壽如山) 하시고, 부여해(富如海)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이 게시물을..
    조회수 :
    54
    등록일 :
    2019.02.02
    23:24:09 (*.239.19.233)
    엮인글 :
    http://daesang33.cafe24.com/xe/xe/1737160/e3c/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daesang33.cafe24.com/xe/1737160
    목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수sort
    807 암보다 무서운 치매 예방법 image 관리자 2013-10-14 444
    806 이가성 회장의 어록-六不合 七不交 image 관리자 2015-02-25 348
    805 天壽運動 - 발끝 부딪히기 image 우소정 2014-04-02 339
    804 대단한 여자들 관리자 2016-03-23 314
    803 시간은 가는 건가 보내는 건가 image 관리자 2015-06-20 292
    802 무룹 아픈 중년, 산에 계속 가도 될까 image 관리자 2014-02-27 291
    801 아주 작은 일 image 관리자 2014-07-28 288
    800 100세를 사는 음식생활 10계명. image 관리자 2016-04-20 276
    799 상희구 시인 (KBS TV 대구방송) <아침마당>에 출연 관리자 2014-10-22 271
    798 인공지능 개발로 신인류 로봇 시대 도래 image 관리자 2016-04-01 270
    797 ♣부유한 사람들의 몸에 밴 10가지 습관♣ 관리자 2016-06-30 265
    796 春成스님의 지독한 욕 image 우소정 2014-04-20 261
    795 앞으로 한국정치 어떻게 될까?- 관리자 2016-04-21 258
    794 말 많은 정크푸드 이래도 드시겠습니까? imagemovie 우소정 2014-09-22 255
    793 매일 꿀 한수저의 놀라운 효과 10가지(자료제공 이종길) image 관리자 2018-02-24 253
    목록
    쓰기
    첫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끝페이지
    Board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