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버지의 술잔에 채워진 눈물
詩人은 이렇게 덧붙입니다.
"아버지는 손수레에 煉炭재를 가득 싣고
가파른 언덕길도 쉬지 않고 오른다.
나를 키워 힘센 사람 만들고 싶은 아버지
아버지가 끌고 가는 높다란 山 위에
아침마다 붉은 해가 솟아오른다."
이렇게 煉炭 配達해서 詩人을 키워냈던 아버지
바로 우리들의 아버지 像이 아닌가 싶습니다.
景氣가 안좋아질수록
아버지의 등에 얹힌 삶의 무게는 무겁습니다.
煉炭 配達을 해서 子息을 키운 아버지도 계시고
運轉을 해서 子息을 키우는 아버지도 계시고
매일 쳇바퀴를 돌듯 職場 生活을 하는 아버지도 계십니다.
아버지..
언제나 强한 存在일 것만 같던 그분...
하지만 이제 더 以上 强하지도 않고
더 以上 힘내지도 않고
더 以上 勇氣 있지도 않은
卑屈(비굴)과 軟弱함이 묻어 있을지도 모르는
우리들의 아버지
한번 곰곰히 생각해 보고 싶습니다.
그건 바로 家族 때문이겠지요.
子息을 위해서 家族을 위해서는
마지막 남은 自尊心마저 버리는 아버지
그런 아버지에게
旣成世代라고 비웃고 싶어했던 적은 없었을까요?
俗物이라고 마음에서 밀어냈던 적은 없었을까요?
어느 詩人은 우리들의 아버지를 이렇게 노래합니다.
"아버지의 눈에는 눈물이 보이지 않으나
아버지가 마시는 술에는 눈물이 절반이다."
- 송정림의 '마음風景' 중에서 -